중세시대 음악

2023. 4. 17. 20:49음악 이야기

중세시대 음악

중세시대 음악이란 1050-1300년을 중심으로 한  유럽 지역의 음악을 말합니다. 

중세음악은 서양음악의 역사 중  중요한 시기에 속하며 서양음악의 발전에 많은 영향을 끼쳤습니다.

그러한 이유로 중세음악은 서양음악사의 기초가 되는 음악입니다.

교회음악을 중심으로 유럽 전역에 걸쳐 퍼져 있었습니다.

 

대성당의 파이프 오르간

중세음악의 특징

중세음악은 교회음악으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수도원과 교회를 통해 발전되었으며 음악 이론가들이나 작곡가들은 대부분 사제였습니다.

그 당시의 기독교는 중세의 문화 및 사고방식에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교회음악은 하느님의 선물인 인간의 목소리가 성스럽게 여겨져 성악 악기는 오르간 이외에  쓰이지 않고 성악 중심의 음악이었습니다.

그레고리오파의 찬송가와 폴리 파니가 대표적인 음악입니다.

그레고리오 성가의 특징으로서 라틴어 가사로 만들어졌으며 남자만 노래 부를 수 있으며 단성음악에 무반주 곡입니다.

교회음악과 함께 세속음악도 존재했으며 세속음악에서는  반주로서 악기가 사용되었습니다. 16세기가 넘어가서야 교회에서 오르간 이외의 다른 악기들도 연주가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음악적 표기법이 발전함으로 정확한 악보로 음악을 기록 저장 전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대중적인 노래인 민요와 춤곡인 무도가 발전했습니다.

폴리포닉 음악의 등장으로 여러음악이 동시에 진행되는 음악으로서 리듬과 하모니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었습니다.

음악의 종류로는 그레고리오파의 찬송가,폴리파니,성가,칸타타,미사,등이 있습니다.

 

중세시대 음악의 악기

대부분 목재로 만들어졌으며 대표적인 악기로는  리코더,하프,리라,오르간,크롬호른,랍스틱이 있습니다.

1. 리코더-목재로 만들어진 플루트 형태의 악기

2. 하프-목재로 만들어진 현악기

3. 랍스틱-목재로 만들어진 현악기로 지금의 바이올린과 비슷한 형태임

4. 리라-목재로 만들어진 현악기로 지금의 비올라와 비슷한 형태임

5. 오르간-목재로 만든 건반악기로 교회음악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

6. 크롬호른-목재로 만들어진 뿔 모양의 악기로서 중세시대 군악대로 사용되고 그 외 민요나 무도 등에도 사용됨

 

중세 시대 유명한 작곡가

1.프란체스코 란디니-이탈리아의 작곡가로서 14세기 매우 중요한 음악가이자 세속음악의 대가입니다.

2. 기욤 뒤파이-중세 후기에서 르네상스로 넘어가는 시기에 왕성한 활동을 한 작곡가로서 대표작으로는 복잡한 모테트가 있습니다.

3. 기욤 드 마쇼 - 프랑스의 시인이며 음악가로서 미사음악의 창시자로 불립니다. 대표작으로 노트르담 미사곡이 있습니다.

 

중세음악의 폭발적 발전 - 노트르담악파

노트르담악파는 노트르담 대성당의 스콜라 칸토롬을 중심으로 생겨난 다성음악 악파입니다.

중세음악이 폭발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한 것은 노트르담악파 시대부터입니다.

유명한 작곡가로는 레오냉, 페로탱이 있으며 레오냉은 교회 미사곡을 위한 오르가눔을 구체적으로 정리하였습니다.

이후 페로탱은 오르가눔을 대규모로 개편, 발전시켰습니다.

두 작곡가의 작품을 비교해 보면 오르가눔의 비약적 발전을 실감할 수가 있습니다.

레오냉의 멜리스마 오르가눔-두 성부가 매우 섬세하며 그레고리오 성가 위에서 공중을 나는 듯 오느가눔 성부로 세세히 장식되어 있습니다.

페로탱-심포니라고 불릴 정도로 규모가 커며 4 성부로 확장되어 저음부에서 울림을 주는 그레고리오 성가는 돌기둥을 연상시킵니다. 그 위에 얹어지는 오르가눔 성부는 리드미컬한 지금의 박자로 분석하자면 8분의 6박자로 들립니다. 

'음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주의 음악  (0) 2023.04.23
바로크 음악  (0) 2023.04.23
르네상스 음악  (0) 2023.04.22
원시시대와 고대시대의 음악  (0) 2023.04.17
음악에 대하여  (2) 2023.04.16